NEWS 레알리뷰

코 열상과 골절일 때 산재 처리 신청하면 어떡해 될까? 궁금한 실제 근로자 산재사례 병원비에 관한 후기

꾸바소년 2025. 1. 29. 16:37
728x90
반응형

보통 근로자 산재 처리하면, 병원비도 모두 처리가 되고, 보상도 어느정도 받을거 같은

느낌적인 느낌인데 실제로 그럴까 하는 부분에 대해서 실제 사례를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아마도 내용을 보시면 실망하시게 될지도 모를 산재에 관한 여러가지를 지금부터 

몇 회 나눠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산재 병원비와 관련한 정리입니다. 

 

1. 산재로 처리된 근로자 사건내용

간단하게 정리하면 업무를 수행하던 중 캐비닛 같은 함의 덮개 부분이 탈락되면서 떨어져

코의 눈과 눈 사이 부분을 때렸고, 코의 피부가 찢겨 벗겨져 내렸고 (열상), 

코의 일부 뼈가 내려앉아서 골절상을 입게 되어서 일부 병원비는 건강보험으로 처리하였고, 

추후 산재를 신청해서 산재처리를 하게 된 사례입니다.

 

 

2. 일반외과에서 성형외과로 병원을 옮기게 된 사유

일반외과에서 코 CT를 찍었는데, 코 골절이 확인되었으나 열상이 있어 꼬매야 되는데,

일반외과 보다는 성형외과에서 치료를 받아야 더 정밀한 치료를 받을수 있다고 하여 

성형외과로 병원을 옮기게 되었습니다.

 

3. 병원에서의 치료

치료의 과정을 보면, 일단 열상으로 인해서 사고당일 열상 봉합수술을 국부마취 후 진행합니다.

얼굴이 부어있는 상태이기에 1주일 후 골절과 관련해서 전신마취 후 수술을 진행하기로 합니다.

다행히 비관혈적 정복술이라고 해서 피부를 찢지않고, 기구를 삽입후 외부에서 코뼈를 맞추는 수술을

진행하기로 해서 2박 3일을 입원하게 됩니다. 

 

퇴원 후에는 2주마다 뼈의 상태와 외부 봉합된 피부상태를 확인했고, 대략 한달이상 지나고 나서

코 CT를 찍어서 뼈상태 확인후 흉터 레이저 시술에 들어갔고, 경과가 좋아서 3회 후 완료했습니다.

 

4. 산재 진행후 병원비와 관련해서

산재는 회사와 협의후 병원에 요청해서 일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예전과 달리 근로자가 산재신청을 직접할수 있고,

보통 병원에서 대행을 해줍니다)

일단 건강보험으로 처리되어서 개별비용 처리된 부분은 이후 산재처리 후 건강보험과 가감 후 본인부담된 부분 중

비급여항목이 아닌 비용 부분을 개인계좌로 입금을 해줍니다. 

이후 병원에서의 치료비는 비급여 항목은 본인부담을 하고, 산재로 처리되는 치료비는 산재부담으로 처리가 됩니다.

다만, 생각보다 비급여항목이 많아서 본인부담치료비가 꽤 많다는 것이고,

그 범위가 부담스러운 수준이라는 점입니다.   

 

 

다친것도 서러운데, 산재가 치료비 전부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되며, 실제로 회사에선 산재로 넘어가면

개별적인 비용부담을 거절한다고 해도 별다른 방법이 없다는 것입니다. 

산재처리 부서와 통화도 했는데, 일반병원에 비해서 성형외과라서 더 비급여 항목이 많다고는 했지만,

이런 과정들이 조금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다친 것으로 인해서 연고 및 밴드 등 여러가지 처방을 필요로 했는데, 이것들이 다 비급여 항목이라는 것입니다.

병원에서 상처에 필요하다고 추천하는 것들을 환자가 거부하기 어려운 점이라는 것인데,

산재에서는 이런 부분들을 대체로 비급여로 본인부담으로 처리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비급여 항목 중 산재처리를 요청해서 승인받은 것은 전신마취 수술전 병원에서 요구한 두가지 초음파 부분인데,

이 초음파도 비급여로 되어 있었으나 산재쪽에 요청되어 산재승인되었지만, 보험수가로 처리되어

실제로는 본인부담비용이 발생했습니다.

흉터처리 레이저 시술은 진료비만 산재 처리되고, 실제 레이저시술비 (6만원/회당)는 모두 본인부담 비급여 였습니다.

추후 산재가 완료된 후 비급여 부분 개별요양급여를 신청하려 하였으나 병원측에서 화상관련 환자가 아니면

처리가 안된다고 통보받았습니다.

 

 

5. 대략적인 실제 치료와 관련한 비용 정리
(치료기간은 4개월이 안되며, 레이저흉터시술이 1개월단위로 이뤄지는 점 감안)

 

병원은 총 세군데로 처음 일반외과 진료 및 CT촬영, 성형외과에서의 진료 및 수술 그리고, 외부에서

간초음파 및 심장초음파 촬영으로 병원진료가 완료되었습니다. 

 

기타사항은 전신마취 수술후 무통주사가 비급여항목이라 거절했고, 치료시 흉터연고와 흉터밴드를 추천했는데,

몇만원씩 하는 것들이라 흉터연고는 거절하고 밴드만 구입했습니다. 

 

건강보험 부담 치료비 : 약 150만원 (수술까지 해당되고, 이후 산재전환)

산재전환 후 본인부담치료비 : 약 33만원

- 산재 전환후 공단에서의 환급금 : 약 63만원

정리하면, 이번 산재처리와 관련해서 본인부담 치료비가 약 120만원 소요됨.

 

산재처리가 되었음에도 비급여 항목들에 대한 본인부담 치료비가 약 120만원 소요되었고,

그나마 흉터레이저치료가 긴 경우는 1년도 걸리는데, 다행히 경과가 좋아서 3회 시술로 끝났기 때문에

이정도로 정리가 된 것입니다. 

 

 

열상 및 코 골절인 경우 산재로 후유장애보상 같은 부분도 해당사항이 안되었고,

개별요양급여 신청도 해당이 안된다고 해서 산재처리와 관련해서 조금 실망했습니다.

또한 급여지급 부분도 있었는데, 산재기간 동안 쉴수는 있었지만, 휴업급여는 대체로 기본급의 70% 정도

지급이라 금액이 현저히 적어져 회사업무 상황상 마냥 쉴수가 없어서 통원치료로 대체하고, 

회사에서 허용가능한 휴식후 업무를 시작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런 경우는 휴업급여를 산재신청하지 않고, 회사에서 지급받는 걸로 선택해서 처리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산재의 장점은 만약 추후 1차 치료 후 후유증이 생긴다면,

재 산재 신청으로 다시 치료를 받을수도 있다는 점이라고 합니다.

 

산재 처리와 관련해서 다양한 경우가 있을수 있는데, 일단 열상과 비관혈적 정복술 코 골절과 관련한

사례로 참고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정리해드립니다.

일반병원에 비해서 성형외과의 사례라 비급여항목이 조금더 많을수 있다고 하니 이점은 참고하세요

 

* 산재사례에 관한 참고로 생각해주시고, 질문에 대한 답을 드릴수 없는 점 양해바랍니다.

반응형